기본 WSL2 인스턴스를 내보낸 후 E 드라이브에 다시 가져오는 방법
1. WSL 인스턴스 내보내기
현재 사용 중인 WSL 인스턴스를 tar 파일로 내보낸다.
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다음 명령어를 사용한다.
wsl --export <사용중인_WSL_이름> <tar_내보낼_위치>
2. 기존 WSL 인스턴스 제거
wsl --unregister <사용중인_WSL_이름>
3. 새 위치에 WSL 인스턴스 불러오기
wsl --import <사용중인_WSL_이름> <새로운_WSL_저장_위치> <내보낸_tar_위치>
내보낸 tar 파일을 사용하여 새 위치에 WSL 인스턴스를 생성한다.
이 과정을 통해 C 드라이브에서 E 드라이브로 WSL2 인스턴스의 저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.
참고
https://microelectronics.tistory.com/47
(C 드라이브에 했다가 용량 딸려서 E 드라이브로 옮길 수밖에 없었음 ㅎ)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WSL2 가상 디스크 용량 정리하기 (0) | 2025.03.12 |
---|---|
[Linux] 윈도우 11에서 WSL 삭제 후 재설치하기 (0) | 2025.02.07 |
[Linux] head, tail 명령어 (파일 시작, 끝 출력) (0) | 2024.12.08 |
[Linux] scp 명령어 사용법 (0) | 2024.11.26 |
[Linux] 디스크 공간 확인 명령어 (0) | 2024.1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