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사에서 사용하는 도커 이미지는 용량이 어마어마하게 크기 때문에..운영체제가 설치된 C 드라이브 대신, 도커 데이터를 다른 파티션인 D 드라이브에 저장하게 설정하였다. Docker desktop 설정docker engine을 실행하고 우측 위의 setting으로 들어가서 Resources -> Advanced 선택한다. 위의 Disk image location을 변경해준다.기존에는 C directory가 설정되어 있을 건데 원하는 다른 파티션으로 변경해준다. docker가 저장하는 WSL2 디스크(vhdx)의 경로를 변경해준 것이다! docker의 disk image location 변경은 단순히 새로운 컨테이너/이미지가 저장될 위치만 변경하는 것이고, 기존 포스팅 했던 https://lucy030.ti..
Docker Image 관련 명령어1️⃣ 이미지 조회하기$ docker images 2️⃣ 이미지 삭제하기$ docker image rm {이미지_ID 또는 이름}$ docker rmi {이미지_ID 또는 이름} 3️⃣ 이미지를 tar 파일로 저장하기docker save -o .tar 개발 서버에 있는 docker 이미지를 로컬 서버로 옮기는 경우에 사용하였다. 4️⃣ 이미지 불러오기(tar 파일)docker load -i .tar불러온 후 docker images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이미지가 제대로 옮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Docker Container 관련 명령어1️⃣ 컨테이너 리스트 출력하기$ docker container ls # 실행 중인 컨테이너만 표시$ docker container l..
디스크 상태 확인df -hdocker system df 정리 명령어docker system prune -a --volumes